UI/UX를 중요하게 여기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김도균입니다.
실패했을 때 좌절하지 않고, 미래를 위해 노력하는 목표지향적 가치를 중시합니다.
높은 학구열로, 지금 이 순간에도 끊임 없이 학습하고 있습니다.
성공적인 협업을 위해 지속적인 소통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서버 컴포넌트 및 서버 액션의 기능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TanStack Query를 사용하여 전역 서버 상태 관리를 합니다. React-Hook-Form과 zod를 사용하여 실시간 form validation 및 Controller를 사용할 줄 압니다. generateMetadata 등을 활용하여 SEO를 높힙니다.
zustand나 context API를 사용하여 Toast나 Modal 등 전역 UI 상태를 관리한 경험이 있습니다.
any 타입을 지양합니다. 추론이 힘든 경우에는 unknown 타입으로 대체합니다. zod의 스키마와 safeParse를 활용하여 타입 안정성을 높힙니다.
사용자 경험을 중시합니다. Layout Shift, Loading UI(Skeleton UI, Loading Spinner) 등을 고려하여 컴포넌트를 설계합니다.
디자인 시스템에 의거한 UI 컴포넌트를 설계할 줄 압니다. cva() 함수, clsx, taillwind-merge 등을 활용하여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높힐 수 있습니다.
GitFlow, Github Flow 등 브랜치 관리 전략에 대해 이해하고 있습니다. 선형적 커밋 히스토리를 관리할 줄 알고 있습니다. 또한, 일반 merge 뿐만 아니라 rebase, squash 병합도 적극 사용합니다. 동료들과의 코드 리뷰는 상생 및 동시 성장하는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Jira와 Github Projects, Notion 등 협업 관리 툴을 사용할 줄 압니다. Jira와 Github Projects로 이슈 관리를 한 경험이 있으며, Notion을 통해 프로젝트 기간 동안 문서 정리를 한 경험이 있습니다.
Tailwind, Modern CSS, CSS in JS를 사용할 줄 알고, Mobile First 디자인 원칙을 지켜서 반응형 웹을 구현합니다.
사용자의 interaction이 빈번한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E2E 테스트를 작성한 경험이 있으며, 배포 전 버그 검출을 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 덕분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습니다.
Jira, Linear, Slack을 통해 팀원들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유지하며, Agile 방법론에 따라 프로젝트를 관리한 경험이 있습니다.
사용자의 입장에서 생각하며, UI/UX 개선을 위해 노력합니다. 대표적인 경험으로 캔버스의 초기 카메라 설정에서 불편함을 겪는다는 의견을 반영하여 개선한 사례가 있습니다.
Sentry를 통해 오류 모니터링을 수행한 경험이 있으며, 보고되지 않아도 될 오류가 무엇인지 리스트업 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습니다. 또한, Error를 throw해서 보고하는 것 보단 nullish return handling, 토스트 문구 띄우기 등으로 대체하는 걸 팀에게 제안한 경험이 있습니다.